MLRS(Mutiple Launch Rocket System 의 머리 글자를 취한 약어 굳이 번역하자면 "다연장 로켓시스템") 전선 깊숙하게 위치하는, 적기갑부대, 포병, 지휘·통신 시설 등 광범위하게 분산한 목표에 대해, 단시간에 대량의 로켓탄을 발사하는 자주 로켓 발사기를 중심으로 하는 병기 시스템. MLRS은 M110 203㎜자주곡사포등의 후계 병기로서 1976년 미 육군에 의해 개발이 시작되어, 후에 영국,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가 공동 개발에 참가, 1983년에 실전 배치를 시작했다. 미국외, 영국, 이스라엘, 이탈리아, 네델란드, 그리스, 덴마크, 독일, 터키, 노르웨이, 바레인, 프랑스, 한국, 일본 등에서, 1300대 이상이 사용되고 있는 다연장 로켓·시스템이다. MLRS은 탑재하는 12발의 로켓탄을 1분간으로 발사한다. 이 1분간에 목표 지역에 투사되는 탄약 중량은 MLRS 1대당 1646 kg(M26 로켓탄 12발)이 된다. 이것은, 1분 당 92kg(M106 유탄1발)의 M110, 203㎜자주 곡사포나, 172kg(M107 유탄4발)의 M109A6 자주곡사포에 비해, 대략 10배이상의 화력을 단시간에 투사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로켓 병기와 같이 영점 몇 초의 간격으로 연사하지 못하고, 1발마다 약5초의 간격을 두는 것은, 먼저 발사한 로켓탄의 분사불꽃에 의해 생긴 LLM(발사 장전 모듈)의 엇갈림 보정과 로켓탄 상호의 탄도 간섭을 최소한으로 하고, 유도 장치를 가지지 않는 로켓탄의 명중 정도를 올리기 위해서이다. 걸프 전쟁때에는 1만발이상의 로켓탄이 발사되어 이라크군 포병부대등의 궤멸에 활약, 이라크군에게는 「강철의 비」라고 공포의 대상이 되었다. MLRS은 아래와 같은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다. M270 자주발사기 M2 블래드리 보병 전투차를 베이스로 한, 높은 기동성을 가지는 M993운반차량. 차체는 알루미늄 합금제로, 소형 화기나 포탄 파편에 대해서 방호력을 가진다. 차체 앞부분에는 3명의 승무원을 수용하는 캡이 있다. 승무원은 횡렬로 앉아, 왼쪽에서 조종수, 포수, 차장이 되고 있다. 창에는 장갑 덥개가 있어, 로켓 발사 시에 폐쇄된다. 캡 내부는 로켓탄 발사시의 유독한 배기 불꽃이나, 생물·화학 병기, 방사성 물질이 침투하지 않게, 필터가 첨부된 여압 장치가 장치되어 있다. 이런 장비로 인해 승무원은 탑승한채로 발사가 가능하고, 사격 명령에서 발사, 이동까지의 시간이 큰 폭으로 단축되어 생존성도 향상했다. 캡 후방은 출력 500마력의 터보 차지 디젤 엔진과 변속 장치가 있어, 차체 앞부분의 구동 바퀴에 동력을 전달한다. 캐터필터는 차체 앞부분의 구동바퀴 6개의 앞바퀴와 차체 후부의 유도바퀴 및 4개의 상부지지 바퀴에 의해 지탱 유지된다. 서스펜션은 유압 덤퍼와 토션 바·스프링을 조합한 타입이다. 로켓탄 발사 시에는 서스펜션을 로크상태로 하여 로켓 탄도의 치우침을 방지한다. 차체 후부에는 포탑 링에 탑재된 M269 LLM(Laucher Loader Module발사 장전 모듈)이 있어, LP(Lauch Pod발사 포트)을 2기 장전 한다. LLM은 좌우 194도, 앙부각(仰俯角) 0도부터 60도까지의 범위에서 선회·앙부한다. 또 LP를 장전하기 위해 호이스트를 내장하고 있어, 승무원1명이 3분 이내에 재장전을 완료할 수 있다. M270 발사기의 일부에는 사정 140km이상의 ATACMS(Army Tactical Missile System 육군 전술 미사일·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차체 표면의 내열 장비 추가와 FCS의 처리 능력을 향상시킨 버젼6으로 불리는 타입도 존재한다. 게다가 현용의 M270 발사기에 GPS위치 결정·항법 장치를 추가, FCS 및 유압 장치등을 개량하여 반응 시간, 정비성을 향상시킨 M270A1의 개량 계획도 진행중이다. FCS(Fire Control System사격 통제 장치) M270자주발사기의 캡 내부, 포수석 전방으로 FCS 컨트롤·패널이 있어, 지휘소로부터의 지령을 음어 장치가 된 FM 디지털 통신기로 지령을 받아 LLM(발사 장전 모듈)의 방위각·앙부각, 신관 설정이나 로켓 발사를 제어한다. 또, Gyrocompass를 내장하는 SRP(Stabilization Reference Package 안정화 참조 패키지)과 엔진 출력 축으로부터 발신되는 신호 따위를 검출하는 PDS(Position Determining System 위치 결정 시스템)에 의해 M270 발사기의 방위, 고도, 경사, 위치등을 계측한다. LP(Lauch Pod발사 포트) LLM(발사 장전 모듈)에 2기 장전되는 6발 들이 로켓탄 포드. 장전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원통형 로켓탄 컨테이너3개를 2단 겹치고, 이것을 알루미늄 프레임으로 지지한다. 길이 4.04m, 폭1.05m, 높이0.84m, 중량 2270kg. 로켓탄 컨테이너는 유리 섬유제로 발사 때 탄체에 회전을 주기 위해 내부에 2개의 나선 레일이 있다. 또, 적절한 발사 속도를 확보하기 위해, 추진력이 5,625kg에 이를 때까지, M26은 컨테이너 내부에 핀으로 고정된다. 추진력이 5,625kg에 이르면, 핀이 접혀 로켓탄은 발사되어 나온다. 로켓탄은 공장에서 조립과 검사 후 컨테이너에 밀봉된다. 이후 10년간 정비·검사 없이 보존 가능하다. 가장 기본적인 탄종은 M26 로켓탄이다. 이 외 사정 연장형, AT-2대전차 지뢰를 탑재하는 타입이나, ATACMS등 여러가지 탄종을 발사할 수 있다. 큰 위력을 가지는 MLRS이지만 운용상의 제약은 있다. 유도 장치가 없는 로켓탄이므로 바람 등 외기의 영향을 받기 쉽다. 10km 이내의 목표에 대해서 사용하는 경우, 불발탄의 발생율이 높고, 우군의 진격을 방해해 민간인에게도 피해를 줄 가능성이 있다. 발사 후, 재 장전까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로켓탄, 발사시의 음, 연기, 불길은 적으로부터 발견되어 쉽다. 발사 후는 즉시 이동하지 않으면 적 포병으로부터 반격을 받는다. 곡사포에 비해 탄착의 정확함, 즉응성 및 지속성으로 뒤떨어진다. 공수시에는 C-141 이상의 대형 수송기를 필요로 한다. 냉전 종결 후, 해외 지역에의 신속한 부대 전개의 필요성이 인식되어 HIMARS(하이 마스라고 읽는 High-Mobility Artilley Rocket System 고속 기동 포병 로켓시스템)을 개발중이다. 이것은, 6바퀴 구동의 FMTV(Family of Military Tactical Vehicles 군용 전술차량) 5톤 트럭의 차체에 장갑 캡, FCS(사격 통제 장치), 발사 장치등을 탑재한 타입으로, LP(발사 포드)은 1기만 부착. 탑재하는 로켓탄은 6발로 MLRS의 반이지만, 경량·소형화되어 C-130 중형 전술 수송기로도 수송 가능해 진다. 또 자주 주행에 의한 장거리 이동도 가능하고, 생산·정비 유지비도 싸다. 성능·제원 M270 자주 발사기 중량:25,191kg(로켓탄 탑재시) 전체 길이:6.97m 전체 높이:2.61m(주행시) 전체 폭:2.97m(주행시) 승무원:3명 최대 속도:64km 항속 거리:483km 엔진:커민즈 VTA-903 터보 차지 디젤 500 마력 [출처] MLRS(Mutiple Launch Rocket System|작성자 맨체스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