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967 댓글 0
지금은 IMF때처럼 하면 안됩니다

알아보자 ! 바뀐 재테크 포인트
그때는 국내가 금융위기 빚내서 집 사도 돈벌고 고금리가 투자 기회로
지금은 세계가 금융위기 저금리 계속되고 집값 폭락 현금 가져야 버틸 수 있어


"외환위기 당시 여윳돈으로 우량주를 사뒀다면 지금쯤 큰돈이 되었을 텐데…." "그때 강남 아파트만 팔지 않았어도 지금 종부세 내는 집부자가 됐을 텐데…."

10년 전 IMF 외환위기 시절의 '경제적인 행동'에 대해 아쉬워하는 투자자들이 적지 않다. 당시의 시행착오를 떠올리면서 "IMF 같은 황금 기회가 다시 찾아 온다면 이번엔 절대 놓치지 않겠다"고 굳게 다짐하는 사람도 많다.

그런데 최근 국내 금융시장 상황이 10년 전 IMF 시절과 똑같이 흘러가고 있다. 미국 투자은행 리먼 브러더스의 파산보호 신청으로 촉발된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주가 변동성이 커지고, 환율은 급등락하며, 집값은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때문에 많은 투자자들이 '언제가 기회일까'를 노리며 타이밍을 재고 있다.

그러나 재테크 전문가들은 과거 'IMF 재테크'를 그대로 답습해선 곤란하고, 다른 방식으로 접근해야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다고 조언한다.

이른바 '리먼 재테크' 시대에 투자자가 알아둬야 할 포인트 3가지를 소개한다.




◆지금은 세계 전체가 병들었다

IMF 외환위기 당시엔 우리나라 등 일부 아시아 국가에만 불이 났다. 그래서 선진국 소속 유능한 소방관들이 긴급 출동해 대신 불을 꺼줬다. 그러나 지금은 전 세계 국가들이 너나 할 것 없이 온통 불이 난 상태다. 소방서에 불이 났으니 우리나라에 소방관을 보내줄 형편이 안 되는 것이다.

강우신 기업은행 PB팀장은 "금융위기는 돈만 퍼부으면 극복할 수 있지만, 실물경기 침체는 돈으로 쉽게 해결되지 않는다"며 "심하게 곪은 상처가 터져야만 정상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잠깐 어렵다가 금방 회복될 상황이 아니라고 보는 것이다.

강상훈 하나은행 WM팀장도 "지금 상황은 우리나라 밖에서 시작된 위기이기 때문에 IMF 때처럼 재테크 기회를 잡는 건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당시 은행에서 파는 개발신탁 상품의 확정 수익률은 연 20% 안팎이었고 제2금융권인 저축은행 이자는 연 30% 수준에 달했다. 강 팀장은 "IMF 당시는 IMF의 고금리 극약 처방이 계속되었기 때문에 돈 있는 사람들에겐 큰 기회였다"며 "그러나 현재 은행 정기예금은 연 7%대가 고작이고 저축은행도 연 8% 수준에 불과하며 이마저도 점점 내려가는 추세"라고 지적했다.

◆전 세계 집값이 하향 안정화 추세

과거 IMF 이후 집값이 V자형으로 급상승한 경험을 떠올리면서 어떻게든 버텨내면 집값은 다시 크게 오를 것이란 막연한 기대감을 품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강우신 PB팀장은 "예전엔 모든 것이 상향 평준화되었던 상황이지만 지금은 하향 평준화되면서 거품이 걷히는 단계"라며 "향후 집값이 오르더라도 예전보다 시간이 더 걸릴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IMF 당시엔 위기 상황이 마른 하늘에 날벼락처럼 갑자기 찾아왔다가 한꺼번에 쓸려 갔지만, 지금은 가랑비에 옷 젖듯 우리가 모르는 새 스멀스멀 위기가 찾아오고 있는 만큼, 경기가 회복되기까지는 시일이 오래 걸릴 수 있다는 것이다.

정봉주 부동산 컨설턴트도 "많은 사람들이 과거 경험만 갖고 미래를 판단하려 하지만 반등 기회가 많지 않아 보인다"며 "가격이 크게 오른 강남 지역은 철저한 실수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저(低)출산 이슈가 '리먼 재테크'의 핵심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우리나라의 올해 합계 출산율은 1.2명으로, 전 세계 156개국 가운데 홍콩 다음으로 낮다. 세계 평균은 2.54명, 선진국 평균은 1.6명이었다.

정봉주 컨설턴트는 "저출산이 가속화되어 아이들이 줄어들면 미래 소비 주체가 감소하고, 이는 곧 내수 부문의 국가 경쟁력 하락을 의미한다"며 "저출산이 경제 성장률 저하를 부추기고 내수 침체로까지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집값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소비 통제해 힘든 시기 버텨내야

IMF 이후 집값이 급상승하면서 '빚잔치'에 나선 사람들이 많았다. 은행 빚을 과도하게 빌려 집을 샀고, 실현하지도 않은 집값 상승분으로 흥청망청 씀씀이를 키웠다.

그러나 순식간에 모든 상황이 바뀌었다. 고규현 삼성증권 PB팀장은 "시장 상황이 급변한 데에는 정부 규제 정책이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며 "앞으로의 시장 방향도 정부 정책에서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 정책은 당장 효력은 없어도 언젠가는 실체를 갖고 영향력을 미치게 된다는 설명이다.

고 팀장은 "현재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한 각종 정책을 하루가 멀다 하고 쏟아내고 있다"며 "시차(時差)는 있겠지만 이 같은 정부 정책이 향후 주식이나 부동산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단 그때까지 개인들은 이를 악물고 살아남아야 하는데, 버티려면 현금은 쥐고 있어야 한다는 조언이다. 단순한 투자 실탄 확보의 차원에서가 아니다. 급전이 필요해도 은행들이 자신들의 재무 건전성 관리 차원에서 돈을 빌려주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고규현 팀장은 "실제 위기에 닥쳤을 때를 대비한 가계 비상계획을 미리 짜둬야 한다"며 "불필요한 소비를 줄여서 현금 유동성을 확보하는 게 최우선"이라고 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72 맞벌이 생존전략 재테크 1 강이 사랑 2008.11.06
171 금에 투자하는 방법은 ..? 1 군디스 2008.11.06
170 입사 42개월째, 나는 이렇게 1억을 모았다. 4 미친덕 2008.11.12
169 이거 알고싶어!! 재테크 궁금증 1 미친덕 2008.11.12
168 현모양처 말고 쩐모양처 시대, 5년동안 5억 만들기 4 아싸 2008.11.12
167 경매는 가난한 아빠들에게 가장 매력적인 투자처!! 1 아싸 2008.11.12
166 이제 시작하는 재테크! 1억만들기 무한 도전 1 알컬리 2008.11.12
165 '1인당 5천만원까지 원리금 보장'에 숨은 함정 아싸 2008.11.12
» 아직도 'IMF 재테크'에 연연하십니까? 산이쵝오 2008.11.14
163 재테크 왜 하세요? 2 사랑해 2008.11.14
162 한국의 젊은 부자들, 그들은 어떻게 돈을 벌었나 3 벤틀 2008.11.14
161 이런 땅을 사야 돈번다. 6 작은악마 2008.11.14
160 농가 주택 구입시 절세 요령 2 영웅이 2008.11.14
159 같은 수입으로 재산 더 늘리는 노하우 오학기 2008.11.17
158 신혼부부 1억모으기 생생노하우 12 100번째 만남 2008.11.17
157 돈이 굴러오는 재테크 체질 개선법 8 답답남 2008.11.18
156 강추! 흔들리지 않는 부동산 성공 법칙 경제서 3 태시스 2008.11.23
155 판매사가 말해주지 않는 펀드투자 `숨겨진 팁` 5 고고싱 2008.11.23
154 40대에 부자되는 <5가지 방법> 6 프레쉬 2008.11.23
153 '집값 반토막' 현실화되나 3 *viki* 2008.12.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120 Next
/ 120